가계부 작성하는 이유
💵 지출 통제
막연하게 소비생활을 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인의 소비 패턴을 분석해서 일목요연하게 지출목록을 뽑아보자.
의사도 환자의 상태를 알아야 처방할 수 있다.
Q) 본인의 재테크 레벨은 어느정도인가?
Q) 나의 재정 상태는 어떤가? 지출 = 고정지출 + 유동지출
• 고정 지출: 교통비, 보험비, 주거비, 식비 등
• 유동 지출: 생활용품, 의류비, 문화비, 경조사비 등
「월 수입 300만원」으로 가정하자.
• 유동 지출액: 40 만원
• 고정 지출: 약 120 만원
→ 월세 20, 공과금 7, 휴대폰 8, 식비 40, 보험 30, 교통비 9
→ 수입 - 지출 = 300 - 160 = 140 만원
→ 1년 꾸준히 모으면 약 1100만원이 모인다.
9~10년쯤 뒤에야 1억을 모을 수 있다.
* 개인사정에 따라 다르지만 지출을 줄이고 수입을 늘려야 한다.
💵 포트폴리오 구성
자산 비율이 어떻게 되는지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
주식 / 현금 / 채권 / 저축 / 연금 / 자기계발 등에 얼마의 비율로로 투자하는지.
💵 목표 세우기
Q) 한달에 소비되는 나의 금액은?
A) 일정 금액을 먼저 저축•투자하고 소비하는 습관도 하나의 방법이다.
• 대출 상환하는데 얼마나 걸리는지
• 한달에 어느정도 모을 수 있는지.
• 내 집 마련에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어느정도 되는지 가늠해야 한다.
• 지출항목에서 5%씩 줄이기
→ 커피 횟수 줄이기, 할인카드 미리 준비하기 등 생활 개선을 해보자.
가계부 작성 Tip
💰 미세한 단위까지 신경쓰지 말자.
경제 활동을 하다보면 더치페이 / 페이백 / 할인 등으로
1원, 10원 차이가 발생한다.
세세한 부분까지 신경쓰다보면 오히려 피곤해질 수 있다.
가계부에서 1~2% 오차는 큰 문제가 없다.
💰 너무 구체적일 필요가 없다.
생활 하다보면 변수가 많이 발생하기 마련이다.
재료 구매시에는 계획적으로 쇼핑하되 가계부는 간단해도 좋다.
"너무" 간소화하기 보다는 별도의 시트나 메모 기능을 활용해볼 수 있다.
• 어떤 상황과 목적으로 사용했는지 필요하면 피드백을 남기자.
• 대분류/소분류도 활용해보자.
💰 주기적으로 점검하자
지출 발생하자마자 바로 반영하면 좋겠지만
계속 정리하는 것이 쉽지 않다.
→ SMS 문자 알림 서비스를 활용해보자.
하루를 마무리 할 때 지출 구멍이 나지 않았는지 점검하자.
적어도 일주일에 한번은 점검하여 반성(?)할 필요가 있다.
💰 일단 시작하자.
가계부 작성하기 위해 수기 / 엑셀 / 모바일 등을 활용하여
완벽하게 작성하고 싶은 욕심이 크다.
시작하는 단계에서는 본인 스타일도 제대로 알기 어려우면
아주 만족스런 가계부 양식도 찾기 어렵다.
어플
• 주어진 양식을 사용하지만 입문할 때 시간 대비 많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 SMS 알림 수신 기능으로 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
• 시간과 장소 큰 제약없이 바로 기록할 수 있다
• 일정 기간 사용하다보면 작은 화면에 한계와 Foramt 한계가 있음
수기 작성
• 합계, 비율, 카테고리 분류를 직접 해야 한다.
• 모바일이나 엑셀에 비해 공간제약도 따른다.
•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린다.
• 직접 작성하는 만큼 자유로운 양식과 자기반성이 잘 되는 편
Excel
• 함수를 이용해 복잡한 수식과 차트 산출이 가능하다.
• 자유로운 양식과 분류가 가능
• 엑셀 Tool에 대한 입문 장벽이 낮지 않다.
• 시간과 장소 제약이 있다.
한 가지 도구만 사용하지 않고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가계부는 "오래 자주" 작성할 수 있는 방향으로 시작해야 한다.
경제 상황에 맞게 도구와 양식을 확장해서 전산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갭(Gap) 투자 (24) | 2023.03.16 |
---|---|
💵 현금영수증 세액 공제 처리 (0) | 2022.01.19 |
주택청약 소득공제 신청 (0) | 2022.01.19 |
재테크 전략 <리밸런싱> (0) | 2022.01.01 |
주식 투자에 있어서 가져야할 자세 (2) | 2021.06.05 |
스톡옵션(Stock Option) 이란? (0) | 2021.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