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재테크

갭(Gap) 투자

by 까망 하르방 2023. 3. 16.
반응형

갭투자란?

→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부동산 자산을 확보하는 방식

→ 전세 끼고 집을 사고 시세차익을 노려 되파는 것

    (갭(Gap) = 주택 매매 가격과 전세보증금의 차이)

→ "시세 상승" 이라는 전제하에 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기에 부동산 가격 하락기에는 위험한 투자 방법이 될 수 있다.

갭투자 예시

 

 

쉽지 않은 갭투자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집값이 꾸준히 오르고

전세값이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시세 차익이 발생할 때까지

다른 사람의 전세금도 계속 유지해야 하는데

전세 수요가 급감해 세입자를 구할 수 없는 상황이 없다면

전세금을 지금 세입자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이때 보증금이 어딘가 묶여있거나 전셋값이 급락하였다면 난감하다.

그 과정에서 취득세나 중개수수료도 고려해야 한다.

(짧게는 1~2년 길게 가야될 수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물량, 교통, 상권 

다양한 요인으로 가격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쉽사리 예측하거나 속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갭투자가 활발한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별 전세가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전세가율 = 매매가격과 전세 가격 사이의 비율)

 

매매를 통한 입주보다는 전세 입주가 선호 될수록

전세가율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