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갭투자란?
→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부동산 자산을 확보하는 방식
→ 전세 끼고 집을 사고 시세차익을 노려 되파는 것
(갭(Gap) = 주택 매매 가격과 전세보증금의 차이)
→ "시세 상승" 이라는 전제하에 투자를 결정하게 된다.
그렇기에 부동산 가격 하락기에는 위험한 투자 방법이 될 수 있다.
쉽지 않은 갭투자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집값이 꾸준히 오르고
전세값이 떨어지지 말아야 한다.
시세 차익이 발생할 때까지
다른 사람의 전세금도 계속 유지해야 하는데
전세 수요가 급감해 세입자를 구할 수 없는 상황이 없다면
전세금을 지금 세입자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이때 보증금이 어딘가 묶여있거나 전셋값이 급락하였다면 난감하다.
그 과정에서 취득세나 중개수수료도 고려해야 한다.
(짧게는 1~2년 길게 가야될 수 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물량, 교통, 상권 등
다양한 요인으로 가격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
쉽사리 예측하거나 속단하는 것은 금물이다.
갭투자가 활발한 지역을 파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지역별 전세가율을 확인해 볼 수 있다.
(전세가율 = 매매가격과 전세 가격 사이의 비율)
매매를 통한 입주보다는 전세 입주가 선호 될수록
전세가율은 높아지기 마련이다.
반응형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테크 전략 <풍차 돌리기> (21) | 2023.03.28 |
---|---|
목독 마련 <예/적금> 굴려보자! (24) | 2023.03.25 |
[비교] 단리/복리 알아보자 (20) | 2023.03.23 |
💵 현금영수증 세액 공제 처리 (0) | 2022.01.19 |
주택청약 소득공제 신청 (0) | 2022.01.19 |
가계부 작성하는 이유와 Tips (0) | 2022.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