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복리는 무시할 수 없는 개념이다.
(물리학자) 아인슈타인 "복리야말로 지구 최고의 발명품"
(석유왕) 록펠러 "복리는 세상의 8번째 불가사의"
단리
원금에 대해서만 이자를 붙이는 이자 계산 방식
→ 매월 원금에 이자가 붙어도, 이자를 원금에 합산하지 않는다.
복리
매달 원금에 발생한 이자를 원금에 합산해서
→ 다음달 이자를 계산할 때 더 커진 원금에 이자를 붙이는 방식
→ 연마다 더해지면 "연복리", 월마다 더해지면 "월복리"
실제 단/복리 계산은 단순하지 않다.
아래와 같은 수식과 함께
일반과세/비과세/세금우대에 따라 결과도 다르다.
예치금과 기간을 더 늘린다면 그 차이는 더 커질 것이다.
단리/복리 비교는 단기간으로 해서는 효과 보기 어려울 수 있다.
금융 상품 가입시 "단리/복리" 인지 확인해야 한다.
은행에서는 복리 상품이 잘 나오지 않는다.
있더라도 가입 기간이 짧아서 효과를 제대로 누리기 어렵다.
은행에서 손해보는 장사를 괜히 하지 않을 것이다.
예/적금에 따른 단/복리 계산은
네이버 사이트에서 "이자 계산기" 검색하면
쉽게 결과를 비교할 수 있다.
반응형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테크 해야하는 이유 (16) | 2023.04.01 |
---|---|
제테크 전략 <풍차 돌리기> (21) | 2023.03.28 |
목독 마련 <예/적금> 굴려보자! (24) | 2023.03.25 |
갭(Gap) 투자 (24) | 2023.03.16 |
💵 현금영수증 세액 공제 처리 (0) | 2022.01.19 |
주택청약 소득공제 신청 (0) | 2022.0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