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직장인.. 1억 모으기까지 얼마나 걸릴까?
하루가 멀다하고 집 값은 상승하고,
내 집 마련 꿈 실현은 힘들어지고 있다.
1억으로 원하는 집을 구매할 수 없지만
해당 금액을 모으기까지
얼마나 걸리는지 한번 알아보고자 한다.
(작성 시점 기준) 연봉 4,000 만원이면
월 실수령액이 약 300만원 정도 된다고 한다.
그렇다면 한달에 나가는 지출 금액은 어떻게 될까?
지출 항목 | 금액 |
보험비 (생명, 치아, 차량 등) | 30만 |
주택청약 | 10만 |
월세 / 전세 | 20만 |
통신비 | 8만 |
교통 및 차량 | 10만 |
식비 | 45만 |
작성한 것 외 더 추가되거나 제외할 수 있는 항목이 있을 거다.
혹은 연봉 상승에 따라 월급 변화나
개인 투자 결과도 반영해 볼 수 있다.
ex) 경조사 / 군것질 / 자기 계발 / 데이트 / 커피(음료) / 쇼핑 / 차량 / 문화생활
합계를 계산해보면,
30 + 10 + 20 + 8 + 10 + 45
= 123만
법률 사무소 주장에 따르면 1인 가구 최저 생계비 (2020년)
80 ~ 100만원 내외라고 합니다.
계산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한 달에 200만원 저축한다고 가정해보자.
100,000,000 (1억) → 10,000,000 ÷ 2,000,000 = 50개월 = 약 4년 2개월
300만원 월급에서 절반 이상을 저축함에도 4년이 걸린다.
Only 은행 금리로 일상생활을 누리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다.
재테크 해야하는 이유
Q) 돈을 모으는 목적이 무엇일까? • 여행 가기 위해서 • 사고 싶은 물건을 갖기 위해서 • 더 나은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서 다양한 목적이 있을 수 있겠지만.. "돈으로부터 독립하며 인생을 속
blackforest.tistory.com
서울에서는 내 집 구하기 결코 쉽지 않다.
지역마다 다르지만 서울 집값은 어느새 10억을 넘어서고 있습니다. 😂
아주 단순하게만 생각해보면...
월 200만원씩 적금 했을 때,
40년 정도 지나야 10억을 모을 수 있다.
물론, 연봉도 꾸준히(😒) 오를 것이고,
본인 나름의 재테크로 발생하는 플러스 요인있겠지만
마이너스 위험 요소도 무시할 수 없다.
평범한(?) 직장인이 재테크 전략과 실천이 필요한 이유이다.
가계부 작성하는 이유와 Tips
가계부 작성하는 이유 💵 지출 통제 막연하게 소비생활을 하고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본인의 소비 패턴을 분석해서 일목요연하게 지출목록을 뽑아보자. 의사도 환자의 상태를 알아야 처
blackforest.tistory.com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현금영수증 세액 공제 처리 (0) | 2022.01.19 |
---|---|
주택청약 소득공제 신청 (0) | 2022.01.19 |
가계부 작성하는 이유와 Tips (0) | 2022.01.02 |
재테크 전략 <리밸런싱> (0) | 2022.01.01 |
주식 투자에 있어서 가져야할 자세 (2) | 2021.06.05 |
스톡옵션(Stock Option) 이란? (0) | 2021.06.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