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TDF란 무엇일까요?
"Target Date Fund" 약자로
투자자의 은퇴 시점에 맞춰
위험자산(주식)과 안전자산(채권)의 투자 비중을 자동 조정해주는 펀드
1996년에 미국에서 처음으로 만들어졌고
국내에는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도입되었다.
TDF 장점
TDF 상품 하나로 주식/채권/대체 자산 등
다양한 자산에 분산 투자 할 수 있다
또, 포트폴리오가 주기적으로 자동 조정된다.
투자 경험 및 재테크 지식이 부족한 경우 유용한 상품이 될 수 있다.
TDF 운영 방식
은퇴 시점이 많이 남았을 경우
단기적으로 수익이 좋지 않더라도 이를 만회할 수 있기에
초반에는 주식 비중이 크다가 은퇴 시점이 가까워지면
안전 자산 비중이 커지도록 리밸런싱 된다.
TDF 뒤에 붙은 숫자 의미
투자자가 은퇴할 것으로 예상되는 연도
목표 시점(Target Date)으로 "목돈이 필요한 시점" 이라고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출생년도 + 60)로 추천하기도 한다.
ex) 1990년 출생 → 1990 + 60 = TDF 2050
예를 들어
주식 비중이 높은 자산배분 펀드를 고른다면 TDF2050 or 2055
채권 비중이 높은 펀드가 필요하다면 TDF2025
물론 은퇴 나이가 많이 남았지만 안정적인 성향이라면
채권 비중이 높은 상품을 선택할 수도 있고
계속해서 주식 비중을 높게 투자하고 싶다면 숫자가 높은 상품을 선택하면 된다.
당연히 주식시장 변동성에 따라 손실폭이 커질 수 있다.
반응형
'경제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산이 두배가 되기까지 시간 <72법칙> (22) | 2024.08.02 |
---|---|
[주식] ETF TR(Total Return) 의미 (56) | 2024.05.03 |
연말정산 Tips <신용카드 소득공제> (20) | 2024.01.10 |
[Tips] 유튜브 프리미엄 우회 결제 방법 (11) | 2023.08.15 |
[주식] 배당금 확인하는 방법 (14) | 2023.08.07 |
미국 3대 주가 지수 (4) | 2023.08.05 |
댓글